티스토리 뷰

반응형

최근에 유한양행과 보령제약이 무상증자를 발표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보면서, 무상증자는 뭐지? 그럼 유상증자라는 것도 있나? 하면서 검색해봤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저처럼 무상증자, 유상증자에 대해서 모르고 계시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에 공유해봅니다.

증자란?

증자라는 것은 말 그대로 자본금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자본금이 늘리는 이유는 정말 간단하게 기업이 돈이 더 필요하기 때문이겠죠. 그렇다면 기업에서 돈이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기업이 돈이 필요한 경우는 새로운 신사업을 위해서 기술개발이나 인프라 투자를 하고 싶다거나, 아니면 회사 운영자금이 부족하거나 하는 이유라고 간단하게 볼 수 있습니다. 

(자본금 = 액면가액 * 주식수)

 

무상증자란?

무상증자 :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기존의 주주들에게 '공짜로' 나누어 주는 것.

해당회사에서 주주들에게 재무제표에 있는 항목을 옮겨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회사의 자본에는 자본금과 잉여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산 재평가 적립금과 주식불행 초과금, 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겨버리는 것입니다. 

 

무상증자의 경우 자본의 변동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현재 어떠한 이유로 인해서 잉여금액을 주식자본금으로 옮겨주는 것입니다. 

그 말은 즉, 지금 회사에서 돈이 많고 재무제표도 좋다는 뜻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액면가가 500원인 주식이 있고 주식을 100만주 발행하여 자본금이 5억짜리인 회사가 있습니다. 주주는 딱 100명이 1만주씩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가 주주총회를 해서 10%의 무상증자를 하는데 5000만원이 필요하게 됩니다. 잉여금항목에 있던 것을 자본금 항목으로 옮기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5천만원의 주식을 500원짜리 10만주 발행해야 하며 100명의 주주들에게 1000주씩 더 발행해 주는 격입니다.

 

그럼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그리고 무상증자를 하는 경우 주가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무상증자를 하는 경우 사실 기업 입장에서는 불리합니다. 가진 잉여금을 유보금으로 쌓지 않고 주주에게 환원하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무상증자는 대부분 해당 회사가 아주 건전하다고 홍보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에서는 무상증자를 굉장히 호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무상증자를 하면 주식 시장에서 관심을 많이 받게 되어서 추가적으로 주가 상승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하나의 이유는,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서 입니다. 주식 수가 늘어나면 거래량도 따라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무상증자를 하면 주주 입장

어떤 사람은 액면가는 동일한데 주식 수가 늘어남으로서 본인의 주식 자산도 늘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내 자산이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자본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긴 것일 뿐이기 때문에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기업의 주식이 100주였다가 200주가 된다고 해서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주당 가치가 절반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무상증자 관련 위험

무상증자를 하는 경우 주가가 많이 오르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무상증자를 선언한 경우 대부분 해당 회사가 건전하다고 홍보되는 것이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주가 상승을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종종 이걸 작전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식을 이 무상증자 발표하기 전에 주식을 사 놓았다가 발표하면서 상승하면 차익을 남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사나 경영진이 직접적으로 한다면 상당히 비도덕적인 일이 되겠죠.

 

무상증자 사례

최근에 무상증자를 발표한 곳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유한양행, JW중외제약, 한미사이언스 등이 이에 속합니다.

 

마치며..

주주의 입장에서 이 글을 보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무상증자는 주주들에게 돈을 받지 않고 기업 내부에 있는 돈을 자본금 항목으로 옮김으로서 주주들에게 환원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주주들에게는 유상증자보다는 무상증자가 무조건 좋은 것입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호재일 수도 있으니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고 가져가시는게 더 좋겠습니다. 

 

*모든 투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